본문 바로가기

재산세2

매매 계약서 작성시 재산세는 누가 내나? 매년 6월 1일은 재산세 과세 기준일입니다. 이제 다음 달이면 재산세 날짜가 다가오기 시작하네요. 그럼 부동산 매매계약서를 작성 시 분쟁을 예방 하기 위해서 어떤 기준일에 따라서 매도인이 납부해야 하는지 아니면 매수인이 납부해야 할지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계약서 날짜? 잔금 지급일? 재산세 납부 기준일? 부동산을 소유한 사람이라면 납부하는 재산세. 매년 날아온 고지서에 적힌 금액을 내고 있지만, 정확한 납부 기준일을 아는 이들은 많지 않습니다. 그런데 최근 주택을 매수했을 때 재산세를 납부할 위무는 계약서에 쓴 잔금 지급일이 아니라 실제 잔금이 넘어간 날부터 생긴다는 조세심판원 판단이 나왔습니다. 이 조세심판원은 지난 27일 올해 1분기 주요 심판 결정 사례를 공개했습니다. 사례로 A 씨는 주택 매수.. 2023. 5. 3.
부동산 취득. 보유. 양도시 세금종류는 어떤게 있는지 그 내용에 대해서 알아봐요. 우리나라는 부동산에 대해서 다른 타 국가보다도 더 애착을 가지는 민족인 듯합니다. 부동산을 취득해서 보유하고 있는 동안 보유기간이 길면 길수록 부의 축적이 상당하죠. 그래서 예로부터 토지나 건물에 투자를 참 많이들 생각하시고 누구나 가지려고 하는 욕망이 있는 듯합니다. 내가 직장을 다니면서 차곡차곡 모은 돈보다 부동산을 하나 사두어서 오른 금액이 훨씬 클 확률이 더 높고 그것으로 인한 부의 축적이 오히려 더 높을 때가 더 많으니 우리 민족이라면 부동산이 부의 상징이 되는 듯합니다. 그러나 취득 시 세금과 양도 시 세금도 알아둬야 하고 또 보유 시 따르는 세금도 있다는 것도 알아야겠죠. 그럼 이제부터 부동산과 관련된 일반적인 세금 유형에 대해서 함 설명해 볼까 합니다. 1. 취득세 : 부동산을 취득할 때 .. 2023. 3. 25.